<손빈>

 

손빈과 방연 

                                                                      

손빈(孫臏)과 방연(龐涓)은 귀곡선생의 잘 알려진 제자이다. 귀곡선생은 주(周)나라 양성땅에 귀곡(鬼谷)이라는 산에 은거하였고 이 산은 험준한 심산유곡이였다. 성명을 밝히지 않아 사람들은 그를 ‘귀곡선생(鬼谷子)’이라고 불렀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그는 천문과 수학에 정통하고, 선견지명으로 상황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계략을 결정하는 데 능란하였다고 한다. 그의 제자 중 위나라 사람 방연과 장의, 낙양사람 소진, 그리고 제나라 사람 손빈이 특히 출중하였다. 병학을 배웠던 손빈과 방연은 처음부터 결의형제를 맺고 친하게 지내는 것은 물론 누가 먼저 출세하면 다른 한사람을 임금에게 천거해서 세상에 그 뜻을 펴기로 약속했다. 손빈은 귀곡선생에게 손무(孫武, 후세에 孫子라고 칭함)의 병법 13편을 받을 정도로 제자 중에 뛰어났다. 

당시 위(魏)나라의 혜왕은 인재를 널리 구하며 국력을 키웠는데, 방연에게 대장군 자리를 맡겼고 그의 아들과 조카를 모두 주요 지휘관으로 임명해서 위세를 떨쳤다. 이때까지만 해도 방연의 허세는 거짓이 아니었고 혜왕은 그에게 모든 병권을 맡길 정도로 신임했다.

방연이 강대국 위나라의 대장군에 올랐는데도 동문인 손빈을 부르지 않으니 그 이유는 인간이 가지는 질투와 욕심 때문이었다. 방연의 뛰어난 재능에 비해 품성은 악인의 것보다도 못했고, 자신보다 뛰어난 손빈을 부를 경우의 경쟁구도 그리고 기득권 상실이 두려웠던 것이었다. 

손빈의 재능을 전해들은 위왕은, 손빈을 데려오기 위해 동문인 방연으로 하여금 손빈을 부르게 했다. 그러나 자신의 재능이 도저히 손빈을 따를 수 없다고 스스로 느낀 방연은 손빈이 위나라에서 벼슬을 할 경우 자신의 자리가 위태하다고 생각했다.  

마음을 놓을 수 없는 방연은 한 발 더 나아가 위나라 왕에게 손빈이 자기 고향인 제나라와 내통한다고 은밀히 모함한다. 위 혜왕은 방연의 말만 믿고 손빈에게 월형(刖刑, 발꿈치를 자르는 형벌)과 자자형(刺字刑, 이마에 죄목을 새겨 넣는 형벌)을 내렸다. 거기에 손빈의 두 무릎까지 도려내 평생 불구자의 몸을 만들어버린다.

방연은 손빈의 흉악해진 얼굴과 불구가 된 다리를 보고 능청스레 통곡하면서 자신의 심복을 보내 손빈을 시중들게 했다. 그것은 손빈이 손무가 지은 병서(손자병법)를 모두 외우고 있다는 것을 알고, 그것을 얻어내기 위한 술책이자 그를 감시하기 위한 방편이기도 했다. 

 

손빈은 이런 방연을 조금도 의심하지 않은 것은 물론, 그나마 방연 때문에 겨우 목숨만이라도 건진 것으로 믿었기에, 그의 부탁대로 기억을 더듬어 ‘손무병서’를 기술해 나갔다. 하지만 방연이 보낸 심복은 날이 지날수록 손빈의 인격에 감탄한 나머지 방연의 속내를 손빈 앞에 모두 실토한다.

그제야 친구에게 속은 것을 알게 된 그는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미치광이 짓을 했고 병서를 불태웠다. 방연이 시험하기 위해 돼지우리에 가두었을 때에도 돼지 똥을 입에 넣으며 모든 사람을 속였습니다. 방연은 병서가 아까웠지만 손빈이 미쳤다고 생각하고 더 이상 신경 쓰지 않았고 언제 사형대로 끌려 나갈지 모르는 손빈은 계속 미치광이 짓을 했다. 그 뒤에 제나라의 사신이 위나라에 와서 감금상태에 있던 그를 몰래 제나라로 데리고 갔다. 

덕분에 고향인 제나라 땅으로 오게 된 손빈은 장수 전기(田忌)의 집에서 식객으로 한동안 생활했다. 하지만 이마에 지울 수 없는 자자형이 새겨지고 두 다리를 쓰지 못하는 장애자인 그를 누구도 쳐다보는 사람이 없었다. 전기는 제나라 왕족과 경마를 즐겼지만 할 때마다 돈을 잃었다. 왕족의 말에 상대가 안 되었던 것이다. 경마를 구경한 손빈은 전기에게 선뜻 이해되지 않는 전략을 가르쳐주었다. 

 “제가 말 경주를 할 때 보니 항상 세 번으로 승부를 가르더군요. 세 번의 경주를 하자면 작전에도 상, 중, 하의 구별이 있어야 합니다. 당신은 먼저 가장 좋지 못한 말을 타고 대왕의 좋은 말과 경주하십시오. 그 다음 대왕이 보통 말을 타거든 당신은 제일 빠른 말을 타고 달리는 거지요.

대왕이 가장 좋지 못한 말을 타거든 당신은 보통 말을 타고 내기를 하는 겁니다. 그렇게 하면 당신은 세 번 내기에서 비록 한 번은 지겠지만 반드시 두 번은 이길 것입니다.”

전기가 손빈의 계책대로 말 경주를 하자 과연 승리를 거머쥐게 되었다. 이 계책을 후세사람들은 삼사법(三駟法)이라고 이름 붙여 군사 응용학의 시초가 되었다. 감탄한 전기가 당장 그를 제나라 위왕에게 천거를 했고, 그렇게 손빈은 기어이 제나라에 출사하게 되었다.

 

기원 전 354년, 위나라가 조나라를 침공해 조나라 수도 한단을 포위했다. 조나라는 각국에 구원을 요청해, 제나라 장수 전기가 병사들을 이끌고 조나라로 가려고 하자 손빈이 이렇게 말했다.

“어지럽게 엉킨 실을 풀려고 할 때는 주먹으로 쳐서는 안 되며, 싸우는 사람을 말리려 할 때도 그 사이에 끼어들어 주먹만 휘둘러서도 안 됩니다. 지금 위나라 군사들은 모두 전쟁터로 빠져나가 수도는 무방비 상태로 텅 비어 있으니 그 곳을 치면 위나라는 조나라의 포위를 풀고 자기 나라를 구하려 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당연히 조나라 또한 우리 제나라에게 고마워 할 것입니다.”

이를 후세의 군사학에서는 ‘위위구조’(圍魏救趙, 위나라를 포위하여 조나리를 구한다)라고 하여 남을 도와주면서도 내 이익을 취한다는 대표적인 전략으로 여기고 있다.

전기가 손빈의 계책을 따르니 과연 위나라는 조나라 수도 한단에서 물러나 계릉에서 제나라 군사와 격돌했으나 위나라 군사들은 조나라와의 전쟁에서 피로한 상태였기 때문에 위나라는 제나라 군대에게 대패했다. 

 

그로부터 13년 뒤(BC 340년) 위나라가 조나라와 손잡고 한나라를 공격하자 한나라는 동맹국인 제나라에 구원을 요청했다. 제나라 군신들이 이 문제를 놓고 한바탕 격론을 벌이는 가운데 대장군 전기가 한시라도 빨리 구원에 나서자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번에도 손빈이 머리를 흔들었다. 

손빈은 한나라를 구원하는 것엔 동의하지만 빨리 구원에 나서지는 말고 상황을 봐 가며 천천히 구원에 나서자고 주장했다. 다시 말해 손빈은 한나라가 거의 다 죽게 되었을 때, 기회를 봐서 이번에도 위나라 수도인 대량으로 밀고 들어가자고 주장했다. 그러면 틀림없이 위나라의 군사들은 전처럼 회군하지 않을 재간이 없는데다가 이미 그들도 힘이 빠져 있을 것이기에 이 전쟁은 손쉬운 전쟁이 될 것이라는 이야기였다. 손빈의 그 말을 듣고 좌중 사람들은 무릎을 쳤다.

손빈의 계책대로 얼마간 기다린 제나라 군사들이 때가 무르익었을 무렵 드디어 위나라로 휘몰아 들어갔다. 그러자 놀란 위나라 혜왕이 방연을 불러들여 태자에게 상장군을 봉하고 방연을 사령관에 임명하여 제나라 군사를 막게 했다. 

위나라 왕은 사사건건 뒷덜미를 잡아채는 제나라와 이번엔 아예 사생결단을 내기로 작심했다. 그러다보니 한나라와 싸우다가 지친 것 같았던 위나라 군사들의 위력이 생각보다 강했다. 대장군 전기가 그 모습을 보고는 겁에 질려하자 옆에 있던 군사 손빈이 빙그레 웃으며 말했다.

“대저 싸움이란 용맹으로만 이기는 것이 아닙니다. 진정으로 싸울 줄 아는 자는 전세를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만들 줄 아는 자입니다.”

그 날부터 손빈은 위나라 군사들의 기세등등한 모습을 보고 겁에 질려 후퇴하는 것처럼 꾸며 제나라 군사들을 이리저리 피해 다니게 했다. 그러면서 그는 군사들에게 영을 내려 처음엔 야영지의 밥 짓는 화덕 10만개를 만들라고 하더니, 다음 날은 5만개로 줄이고, 또 그 다음날은 3만개의 화덕으로 줄이게 했다. 그러자 뒤 쫓던 방연이 제나라 군사들의 밥 짓는 화덕 수가 단 삼일 만에 십만에서 삼만으로 줄어든 것을 보고는 쾌재를 불렀다.

그날부터 방연은 더욱 군사들을 재촉하여 손빈의 뒤를 쫓았다. 그러자 한나라와 싸우다 돌아온 위나라 군사들이 더욱 지치게 되었고, 보다 못한 상장군인 위나라 태자가 주의를 주었다.

그러나 방연은 듣지 않았다. 지난 날 계릉 땅에서 손빈에게 당했던 모욕을 어떻게든 빨리 갚아주고 싶은 나머지 오히려 방연은 중기병과 보병은 남겨둔 채, 행동이 빠른 경기병만을 이끌고 밤 낮 없이 제나라 군사들의 뒤를 쫓았다. 손빈은 그런 방연의 마음을 훤히 꿰뚫고 있었다. 방연의 위나라 군사들이 어느 날 어느 시각에 어디를 지날 것 까지 손바닥을 들여다보듯 알 수 있었던 것이다. 그렇기에 손빈은 자기가 원하는 정확한 시간에 방연의 군대를 마릉(馬陵)이라는 고장의 산 속 깊숙이 유인하는데 성공했다.

마릉은 길이 좁고 지세가 험한 데다 나무가 무성하여 매복에 안성맞춤이었다. 손빈은 이곳의 길목에 나무를 베어 막은 다음 길옆의 큰 나무의 껍질을 벗겨내고 흰 나무 속에 이렇게 써 놓았다.

   “龐涓死此樹下” (방연사차수하, 방연이 이 나무아래서 죽다.)

그리고는 군사들에게 밤에 불빛이 보이면 일제히 활을 쏘도록 하라고 명했다. 방연이  저녁 때가 되어 마릉에 도착했다. 군사 중 한사람이 나무에 무엇인가 문자가 쓰여져 있는 것을 보고하자, 방연은 불을 밝혀 읽어 보도록 했다. 그 글씨를 확인한 직후 사방에서 날아온 화살에 그의 군사들은 전멸하고 중상을 입은 방연은 스스로 자결한다.   역추격에 나선 손빈은 위나라 태자를 포로로 잡고 한나라도 구원하고 위나라의 국력을 크게 위축시켰다. 그 당시만 해도 전국 칠제후국 중 통일가능성이 가장 컸던 위나라는 마릉전투를 끝으로 다시는 국력을 회복하지 못했다. 그러나 위나라에 막혀서 진출하지 못했던 진나라가 진출을 시작하면서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진나라가 통일하게 된다. 손빈은 이 싸움으로 천하에 이름을 떨쳤으며 그의 병법이 세상에 전해지게 되었다. 이 일을 두고 후세 사람들은 감조유적(減灶誘敵, 솥을 줄여 적을 속이다.)이라고 일컬었다. 이것은 기세등등한 적의 힘을 역이용하여 승리한다는 의미로, 군사학의 중요한 전략방법이 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손빈은 조상인 손무의 병학사상을 더욱 발전시킨 병서를 새롭게 써서 제나라 선왕에게 바치며 사직의 뜻을 밝혔다. 제 선왕이 극구 말렸으나 손빈의 뜻을 꺾지는 못하였다. 그 이후 그는 홀연히 사라졌다.

손빈이 직접 쓴 것으로 추정되는 ‘손빈병법(孫臏兵法)’은 한(漢)나라 시절엔 제손자(齊孫子, 제나라에서 활약했던 손빈이라는 뜻, 그의 조상인 손무는 오(吳)나라에서 활약했다)로 불렸고, 총 89편에 4권의 그림이 딸려있다고 사마천(司馬遷)의 『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모든 일을 알기만 하고 쓰지 않는 것은 차라리 모르는 것만 못하리라. 그러므로      될일을 못 되게 하고 못 될 일을 되게 하여야 하나니 손 빈(孫臏)의 재조는 방연      (龐涓)으로 하여금 마능(馬陵)에서 죽게 하였고(···).”(교법 제3장 28절)

 

역사에서 보듯이, 이상을 위해 힘을 얻겠다고 생각한 이들은 힘에 도취되어 초심을 잃는 경우가 태반이다. 방연은 영리하면서도 질투심이 강한 반면, 손빈은 현명하고 착했기 때문이다. 기억력과 두뇌 회전에 별 차이가 없는 듯해도 성정이 착해야만 미래에 대한 통찰이 공정할 수 있고 영리하면 동작은 빠를 수 있어도 통찰력에서 뒤지게 된다. 또 착해야만 덕망이 높을 뿐 아니라 통솔력이 탁월하며 반대로 질투심에 사로잡히면 간휼(奸譎, 간사하고 음흉함)과 편견으로 흘러 사람들이 심복하지 않는다고 했다. 

방연은 목적을 위해 그릇된 수단을 택하면서 정당성을 잃는다. 결국은 현명한 손빈의 전략에 휘말려 방연은 이성을 잃어 마릉에서 죽게 되었다.

 

『대순회보』포천수도장, 제1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