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종장  진묵(震黙)

 

석가모니불의 화신(化身), 신통력이 뛰어나고 효성 지극했던 고승

유.불.선(儒.佛.仙) 합일의 경지에 이르렀던 한국불교사상 가장 독특한 인물 중의 한사람


김봉곡에게 참혹히 죽은 후 원을 품고 동양의 도통신(道通神)을 거느리고 

서양에 가서 문화계발에 역사 했으며 해원시대를 맞아 불교의 종장이 됨 

 

진묵은 한국의 역대 고승들 중에서 가장 신비로운 인물로 알려져 있다. 숱한 기행이적(奇行異蹟)과 불가사의한 신통력을 보였으며, 생전에 ‘석가불의 화신(化身)’, ‘작은 석가’로 추앙 받으며 수많은 전설을 남겼다. 유 ∙ 불 ∙ 선(儒 ∙ 佛 ∙ 仙)합일의 경지에 이르렀던 한국 불교 사상 가장 독특한 인물 중의 한사람 이다.『전경』에 나오듯이 김봉곡(金鳳谷)에게 처참히 죽은 후 원(冤)을 품고 동양의 도통신을 거느리고 서양에 가서 문화 개발에 역사 하였으나, 해원시대(解(冤時代)를 맞이하여 상제님께서 불교종장(佛敎宗長)으로 임명된 진묵대사(震黙大師)에 대하여 알아본다. 

진묵은 1562년(명종 17년) 전북 김제군 만경현 불거촌[佛居村, 지금은 만경읍 화포리(火浦里)]에서 태어났다. 화(火)는 아무런 뜻이 없고 부처님이 살았다고 하는 불거(佛居)의 불자를 불(火)과 연관하여 부른 이름이라 한다. 전주 봉서사(鳳棲寺)로 출가하여 봉서사의 대당앙산에서 입적(入寂)하니 1633년(인조11년) 음력 10월 28일, 세수는 72세이고 법랍은 52세였다. 법휘(法諱)는 일옥(一玉), 진묵은 자호(自號)이다. 어머니 조의(調意)씨인데 진묵이 태어났을 때, 불거촌의 초목이 삼 년 동안이나 마르고 시들하였다고 한다. 모든 사람들이 말하기를 “세상에 뛰어난 기품을 타고났다.”고 하였으며, 태어나서부터 냄새 나는 채소와 비린 음식을 좋아하지 않았으며, 성품은 지혜롭고 마음은 자비로웠다. 또 말하기를 불거촌에 부처님이 태어났다고 하였다. 그러나 태어날 때의 상서와 출세한 뒤의 중생을 교화 제도한 기연 등 아름다운 발자취에 대해서는 전하는 기록이 없다. 이는 일찍이 통렬히 금하여 기록하지 못하게 하였기 때문이란다. “이름이 높다고 해서 거친 돌에 새길 필요는 없다. 노상에 다니는 사람들의 입이 곧 비석이기 때문이라고도 전한다.

진묵이 살았던 시기는 당쟁과 전쟁이 극심한 혼란기였다. 이 시기에 불교계와 그가 살았던 호남지역은 극심한 핍박을 받았다. 특히 진묵의 청년 시절 1589년 김제 금구에서 발생한 ‘정여립의 역모사건’이 발생하였다. 정여립과 관련되어 걸려든 사람이 수천 명이고 그들 중 사형되거나 고문으로 죽은 사람만 해도 대략 1,000명에 이를 정도였다. 이런 정치적 좌절의 후유증으로 사람들의 관심이 종교적 신앙으로 돌리게 되었을 수도 있다. 그리고 3년 후 1592년  임진왜란이 닥치게 된다. 진묵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으로 국토가 유린당하고 많은 인명이 살상되는 참상을 목격하였지만, 서산대사와 사명대사처럼 승병을 조직하여 국난을 극복하는 데 참여하지 않았다. 그는 민중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살았기에 그들의 숭상을 한 몸에 받았다. 부처님의 응신으로 여겨진 그는 고통 받는 민중에게 한 줄기 희망의 빛이었다. 

진묵은 일곱 살에 서방산(西方山) 봉서사(鳳棲寺)로 출가하였다. 서방은 ‘서방정토’를 뜻하고 봉서는 ‘봉황’을 의미한다. 이때부터 슬기롭고 영명한 재질이 드러나 스승의 가르침을 받지 않고도 현묘한 이치를 정확히 밝혔다고 한다. 이미 머리를 깎고 사미승이 되었을 때 주지는 그의 나이가 어리고 행(行)이 깨끗하다 하여 신중단(神衆壇)의 향 피우는 소임을 맡겼다. 그런데 그 일을 맡아 본지 얼마 안 되어 금강밀적신장이 주지승의 꿈에 나타나 “우리들 제천(諸天)은 모두 부처님을 호위하는 신이거늘 어찌 감히 부처님의 예를 받겠는가. 급히 향 받드는 소임을 바꾸어서 우리들로 하여금 아침과 저녁을 편히 지내게 하여다오.”라고 하였다. 금강밀적신장의 현몽으로 대사의 나이 7세 때 부처님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때부터 모두들 대사를 대하는 태도가 달라지고 사람들이 그를 존경하기 시작했다. 

옛날에 득도한 고승들이 사소한 계율에 얽매이지 않고 서민과 희로애락을 함께 했듯이, 진묵대사도 도통한데다가 풍류를 즐길 줄 알았으며, 특히 술을 무척 좋아했다. 술이라면 무엇이든지 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동이 째 마셔 버렸다고 한다. 그러나 그는 술이라면 먹지 않았고 반드시 곡차(穀茶)라 해야만 마셨다. 그가 남긴 게송(偈頌)은 아직까지도 전해지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天衾地席山爲枕(천금지석산위침) 하늘을 이불 삼고 땅을 자리 삼으며 산을 베개로 삼는다

 月燭雲屛海作樽(월촉운병해작준) 달을 촛불삼고 구름은 병풍삼고 바다로 술잔하여  

 大醉居然仍起舞(대취거연잉기무) 거나하게 취해 일어나 춤추려하니                 

 却嫌長袖掛崑崙(각혐장수괘곤륜) 도리어 긴 소맷자락이 곤륜산에 걸릴까 두렵구나  

           

진묵이야말로 그의 삶의 시기가 전란과 기근으로 힘든 시기였지만 참 자유의 삶을 추구했음을 볼 수 있다. 그가 주로 거닐었던 만경평야는 그야말로 비산비야(非山非野)로 비승비속지간에 승속일여(僧俗一如)의 경지를 펴기에 천승의 땅이기도 하였다. 진묵의 탄생지와 활동무대가 이곳이었다는 점도 깊이 음미해 볼만한 대목이다. 이러한 땅에서 그는 농사꾼들과 혹은 유생들과 어울렸고 기행이적을 보이고, 때로는 학문을 논하며 유 ∙ 불 ∙ 선(儒 ∙ 佛 ∙ 仙) 어느 하나에도 매이지 않았던 것이다. 

대사가 어느 때 모악산 대원사(大院寺)에 머물고 있을 때이다. 그때 그는 식사 때에 줄곧 거친 밀기울만 물에 타서 먹곤 하였다. 그것을 싫어한 중승(衆僧)들은 그 밀기울을 먹지 않음은 물론, 그를 박대하여 그 밀기울에 오물을 넣어 더럽혀 놓기까지 했다. 몇 년 지난 후 대사는 여러 승려들에게 이르기를 “너희들의 절은 앞으로 일곱 대에 걸쳐 액운을 만날 것이다.”라고 했는데 과연 그러했다고 전해진다. 

월명암에 계실 때, 시자 한 사람만 남기고 대중스님들이 모두 탁발(托鉢)을 나가고 대사와 시자만이 절을 지키고 있었는데 마침 시자가 기고(忌故)가 있어 속가에 가면서 “공양은 탁자위에 올려놓았으니 때가 되면 잡수십시오.” 하고 떠났다. 그런데 그때 스님은 능엄경을 보시면서 “잘 다녀오너라.” 하여 이튿날 다녀와서 보니 밥도 탁자에 그대로 있고 스님의 손가락이 문지방에 끼어 피가 흘렀는데도 모르고 경을 읽고 계셨다. 시자가 문안을 드렸더니 “아니 속가에 간다더니 언제 왔는냐?” 고 도리어 물었다. 하룻밤 하루 낮을 능엄삼매에 빠져들어 그대로 지냈다는 것이다. 

 진묵은 모친에 대한 효성도 지극하였다고 한다. 이는 속세의 인연을 끊는 것을 전통으로 하던 당시 불가의 생리를 돌아본다면 매우 독특한 태도였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출가인 으로서 어머니를 절 가까운 곳에서 잘 받들어 모셨다. 어느 여름에 어머니가 모기 때문에 괴로워하자 그가 산신령에게 고하여 모기떼를 다 쫓아 버렸다. 그 후로부터 지금까지 그 마을에는 모기떼의 괴로움이 없어졌다고 한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다음과 같은 제문(祭文)을 지어 올렸다고 한다. 그 유명한 진묵조사 모친사구제문(震默祖師 母親四九祭文)이다.

 

「열 달 동안 태중의 은혜를 무엇으로 갚으리오. 슬하에서 삼 년 동안 길러주신 은혜 잊을 수가 없습니다. 만세 위에 다시 만세를 더하여도 자식의 마음은 그래도 부족하온데 백년 생애에 백년도 채우지 못하셨으니 어머님의 수명은 어찌 그리도 짧습니까. 표주박을 들고 길거리에서 걸식하는 이 중은 이미 말할 것이 없거니와 비녀를 꽂지 못하고 출가하지 못한 누이동생이 어찌 슬프지 않겠습니까. 상단 불공을 마치고 하단제사 모셔 파하니 중들은 각기 자기 방을 찾아 들어가고 앞산도 첩첩하고 뒷산은 중중한데 어머니 영령은 어디로 떠나시렵니까. 이 애닯고 슬프도다.」

 

하늘까지 꿰뚫는 효심을 담은 간결하면서도 애절한 명문장이다. 또 그는 풍수지리에도 밝아 모친을 위해 자손이 없어도 천년 동안 제사를 받고 벌초해줄 땅 천년향화지지(千年香火之地)를 보아 놓고 있었다. 진묵의 탄생지로 알려진 현재 전북 김제시 만경읍 북쪽의 유양산 아래 성모암(聖母庵)이 모친의 묘소이다. 김제, 만경 땅 명당자리에 모셔진 성모암은 예부터 “누구고 이곳을 청소하고 절을 올리는 사람이 있으면 풍농의 이익을 얻으리라” 하여 원근촌 사람들이 다투어 음식을 올리고 묘역을 보살펴 수백 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향화가 그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자손이 있는 묘보다 더 깨끗하게 가꾸어지고 향연이 끊이지 않는다고 한다. 이것은 성사의 효심이 감응한 것인지 성모의 지극한 영령의 가피인지 범상한 식견으로는 헤아리기 어렵다.

그는 만년에 항상 봉서사에 머물렀다고 전한다. 그가 어느 날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고는 지팡이를 끌면서 개울을 따라 거닐다가 물가에 서서 물속에 비친 자기의 그림자를 가리키며 시자에게 말하기를 “저것이 바로 석가모니불의 그림자 이니라.”고 하니, 시자가 대답하기를 “이것은 바로 화상의 그림자입니다.”라고 했다. 대사는 “너는 다만 화상의 가짜 그림자만 알았지, 석가모니의 참모습은 알지 못하는 구나.”라고 말했다. 이런 일화를 통해 그는 사람들로부터 석가불의 화신(化身)이라고 회자되었다. 

진묵대사는 조선조 불교의 선교양종(禪敎兩宗) 어느 곳에도 그의 사적(事蹟)이 정사에(正史)에 알려져 있는 것이 없다. 다만 전해오는 이적(異蹟)과 일행(逸行)만이 고승의 반열에 우뚝하게 남아 전할 뿐이다. 그 동안 민간으로만 구전되어오던 것을 19세기 전반 순조조 연간에 대사를 흠모하고 존경하던 그 지역의 유생들이 당시 선승(禪僧)으로 이름 높은 해남 두륜산 일지암(一枝庵)의 초의선사(艸衣禪師)에게 의뢰하여 『진묵대사유적소고(震黙大師遺蹟小攷)』를 탈고하여 출판하니 이를 통하여 대사의 행적을 대강 짐작하게 한다. 불교를 탄압하던 유교정치시대에 유생들이 중심이 되어 대사의 사적을 출간한 것은 당시 사회에서 보기 드문  일일 것이다. 

현재 봉서사 경내에는 진묵조사 부도가 있고 1982년 10월에 건립한 진묵대사유적비가 있으며, 진묵당에는 진묵대사와 그의 모친 조의부인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경내를 소개하던 주지스님의 이야기, 해마다 음력 10월 28일은 대사의 입적일인데 이날 대사의 부도 앞에 곡차(술)를 올리면 어느새 잔속의 술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6.25 전쟁으로 깨지고 흩어진 것을 조각조각 찾아 본 모습을 복원한 부도가 매끄럽게 연결되었고 해마다 몇 센티미터씩 ‘살이 찌며 상제자 부도도 살이 찐다’는 믿기 어려운 이야기도 들었다.  

 진묵을 이야기 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은 김봉곡(金鳳谷)이다. 봉곡은 그의 호이며, 이름은 동준(東準)이다. 그는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의 문하생이었다. 봉곡과 진묵은 매우 긴밀한 왕래가 있었던 사이였다. 

『봉곡은 시기심이 강하였다. 진묵은 하루 봉곡으로부터 성리대전(性理大典)을 빌려 가면서도 봉곡이 반드시 후회하여 곧 사람을 시켜 찾아갈 것이라 생각하고 걸으면서 한 권씩 읽고서는 길가에 버리니 사원동(寺院洞)입구에서 모두 버리게 되었다. 봉곡은 과연 그 책자를 빌려주고 진묵이 불법을 통달한 자이고 만일 유도(儒道)까지 통달하면 상대할 수 없게 될 것이고 또 불법을 크게 행할 것을 시기하여 그 책을 도로 찾아오라고 급히 사람을 보냈다. 그 하인이 길가에 이따금 버려진 책 한 권씩을 주워 가다가 사원동 입구에서 마지막 권을 주워 돌아갔다. 그 후에 진묵이 봉곡을 찾아가니 봉곡이 빌린 책을 도로 달라고 하였다. 그 말을 듣고 진묵은 그 글이 쓸모가 없어 길가에 다 버렸다고 대꾸하니 봉곡이 노발대발하였다. 진묵이 내가 외울 터이니 기록하라고 말하고 잇달아 한편을 모두 읽었다. 그것이 한자도 틀리지 않으니 봉곡은 더욱더 시기하였다. 그 후에 진묵이 상좌에게 「내가 팔일을 한정하고 시해(尸解)로서 인도국에 가서 범서와 불법을 더 익혀 올 것이니 방문을 여닫지 말라」고 엄하게 이르고 입적하였다. 봉곡이 이 사실을 알고 절에 달려가서 진묵을 찾으니 상좌가 출타 중임을 알렸다. 봉곡은 상좌가 말렸으나 억지로 방문을 열었다. 봉곡은 진묵의 상좌에게「어찌하여 이런 시체를 방에 그대로 썩게 하느냐 중은 죽으면 화장 하나니라」고 말하면서 마당에 나무 더미를 쌓아 놓고 화장하니라. 봉곡은 살 한 점도 남기지 않고 모두 태웠다. 진묵이 이것을 알고 돌아와 공중에서 외쳐 말하기를 「너와 나는 아무런 원수진 것이 없음에도 어찌하여 그러느냐」고 말했다. 상좌가 자기 스님의 목소리를 듣고 울기에 봉곡이「저것은 요귀의 소리라. 듣지 말고 손가락뼈 한 마디도 남김없이 잘 태워야 한다」고 말하니 진묵이 소리쳐 말하기를「네가 끝까지 그런다면 너의 자손은 대대로 호미를 면하지 못하리라」하고 동양의 모든 도통신을 거느리고 서양으로 옮겨 갔도다』(공사 제3장 14,15절).

사실 진묵대사의 원한 때문인지 김봉곡이 살던 봉서사 입구 봉서골은 1924년 간중제(봉서저수지)가 들어서면서 수몰이 되어 김봉곡의 후손들은 뿔뿔이 흩어졌다고 한다. 그 후의 상황은 독자들이 판단하시길 바란다. 

진묵은 천상에 올라가서 온갖 묘법을 배워 인세에 그것을 베풀고자 하였으나 김봉곡에게 참혹히 죽은 후에 원(冤)을 품고 동양의 도통신을 거느리고 서양에 가서 문화개발에 역사 하였다. 이제 해원시대를 맞이하여 그는 불교종장이 되었다. 이는 상제께서 그를 해원시켜 고국으로 데려와서 선경(仙境)건설에 역사케 함이라(권지 제2장 37절).

또한 진묵은 천상에서 배운 묘법으로 밤마다 북두칠성을 하나씩 그 빛을 가두어 칠 일만에 모두 숨겨버려 자기 말을 믿고 실천한 가난한 아전을 살린 일화가 있다.(행록 제1장 31절 참조)

 

 결론적으로 진묵은 불가에 귀의한 몸이면서도 모친에 대한 효성이 극진하였고 종교의 본의(本意)를 알고 살아서는 중생교화에 세인들의 귀감이 되었고, 죽어서도 인류를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는 열정으로 여러 사람의 흠모와 추앙을 받고 있다. 멸(滅)했으면서도 멸할 수 없는 그의 발자취가 혼미에 빠진 오늘의 세상을 크게 빛나게 할 날이 있으리라. 

 

『대순회보』포천수도장, 제5호